울산왜성(학성공원)
왜군이 쌓은 일본식 성
울산왜성(학성공원)
왜군이 쌓은 일본식 성
구분
시지정
종별
문화재자료 제7호
위치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공원3길 54
지정일
1997년 10월 30일
울산왜성은 1597(선조 30년) 태화강 하류의 작은 구릉인 학성산에 아사노 요시나가 축성하고 가토 기요마사가 주둔했던 곳이다. 왜성은 임진왜란과 정류재란 때 왜군이 우리나라 남동부해안 각 지역에 쌓았던 일본식 성을 가리키며 조선에서는 도산성이라 불렀다. 왜군은 울산읍성과 병영성의 성돌을 헐어 왜성을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큰 돌을 깨서 기틀을 다지고 성돌 사이에 잔돌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또한 성돌의 긴 면과 짧은 면을 맞물리게 하여 성벽의 모서리를 맞추어 쌓고 벽면은 60~70°정도 경사지게 하였다.
조명연합군은 1597년 12월부터 1598년 9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왜성을 포위한 뒤 연일 공격하였으나 함락하지는 못하였다. 그 당시 왜군은 식량과 탄약이 부족하여 전멸 직전까지 이르러 군마의 피와 오줌을 마시거나 종이나 흙벽까지 끊여먹었을 정도로 상황이 열악했다고 전해진다. 1598년 8월 도됴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같은 해 11월 후퇴명령이 내려져 왜군이 성을 불태우고 퇴각하면서 임진왜란이 끝났다.
대중교통 이용시 |
|
---|---|
자가용 이용시 |
|